-
무료대세는 'AI'...2차 랠리 임박
-
무료바닥권 주가 턴어라운드 임박 종목
-
무료5/27일 무료추천주
-
무료하반기부터 해외시장 본격 모멘텀 터지는 대박주는?
-
무료신약 흥행, 매출 급증! 주가 탄력은 덤!
-
무료관세 무풍지대에 있으면서 방산 관련 국산화를 시킨 재료가 2개나 있는 기업???? #웨이비스
-
무료주가 턴어라운드 가속 예상...추세적 주가 흐름 상승초입 국면
-
무료현대무벡스
-
무료[19.81%상승, 공략종료]AI산업에 필수적인 전력! 이재명후보에 에너지믹스 수소 관련주! #에스퓨얼셀
-
무료트럼프 장남에 해군성 장관까지 온다!! K-조선 부각! 방문하는 조선소에 필수 자제 납품하는 기업! #케이프
-
무료[8.96%상승, 공략종료]SK USIM 해킹 사태!! 양자내성암호 기반 eSIM 상용화 부각 #아이씨티케이
-
무료2차전지 시장 독보적 기술력 보유
-
무료인벤티지랩을 시작으로 비만치료제 모멘텀 시작~ 급등주는?
-
무료지원 정책 날개 달고 반등 가능성 농후
-
무료정부 28조 청년 일자리 정책 수혜 기대감 #플랜티넷

코스피 5000에 대한 기대감이 높다. 그러나 장밋밫 전망만 하긴 이르다. 최근 외국인 투자자들이 주식을 대거 팔아치우면서 지수를 끌어내리기도 했다. 코스피 5000 그리고 코스닥 1000 달성은 가능할까. 증시 전문가들의 의견을 들어봤다.
아래는 김지영 교보증권 리서치센터장과의 일문일답.
▲ 최근 코스피가 4200선을 돌파하며 강세 흐름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현재 국내 증시 상승세의 주요 동인은 무엇이라고 보십니까?
가장 큰 요인은 유동성이라고 보고 있습니다. 상반기 내내 유동성 장세가 이어졌고, 이후에는 실적이 이를 받쳐주면서 실적 장세로 이어진 흐름이라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실제로 반도체, IT 업종의 실적 전망이 상당히 우상향했고, 3분기 실적도 좋게 나오면서 유동성에서 실적으로 전환된 장세라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 코스피 ‘5000 시대’ 가능성까지 거론되고 있습니다. 현실적으로 어느 정도 가능하다고 보시며, 이를 달성하기 위해 반드시 충족돼야 할 요건은 무엇일까요?
최근 지수가 단기적으로 워낙 빠르게 올라서, 이에 따른 조정이 지금 나타나고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다만 코스피 5000을 위해서는 총 다섯 가지 조건을 보고 있습니다.
첫째, 한국과 미국의 경기 흐름이 현상 유지되거나 회복되는 모습이 나와야 합니다.
둘째, 미 연준의 금리 인하 사이클이 지속되어야 합니다. 예상보다 인하 폭이 줄어들면 상승 탄력이 약해질 수 있습니다.
셋째, 반도체 슈퍼사이클이 현재 수준 이상으로 이어지거나 더 강해지는 흐름이 유지되어야 합니다.
넷째, 한국도 새 정부 출범 이후 정책 방향이 가시화되고 실제로 추진되는 단계에 들어설 가능성이 높은데, 이 정책 효과도 전제 조건이라고 보고 있습니다.
다섯째, 유동성 공급이 지속적으로 이어져야 합니다. 주식형 펀드나 ETF 등으로 자금이 계속 유입되는 흐름이 있어야 지수 기술적 상승이 가능합니다.
▲ 최근 코스닥이 900선을 넘어 연초 대비 35% 가까이 상승했습니다. 반도체 외 어떤 업종이 코스닥 상승을 이끌고 있다고 보십니까?
코스피가 반도체 중심으로 올라온 것처럼 코스닥도 반도체 영향은 분명히 있었지만, 최근에는 바이오 업종이 중심이 되고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그 이유 중 첫 번째는 영업이익 컨센서스가 상향 조정됐다는 점입니다. 두 번째는 금리 인하가 예상될 때 바이오 업종은 이익 및 주가 반등에서 상대적으로 밸류에이션을 높게 받을 수 있는 업종이라는 점도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 또한 일부 기업들은 라이선스 만기 등으로 인해 이익이 좋아질 수 있는 구간에 들어섰다는 점도 요인으로 보고 있습니다.
▲ 코스닥 1000 돌파의 현실적인 가능성은 어느 정도로 보시며, 이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조건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기준금리 인하는 기업의 자금 조달 비용을 낮추고 기업 부담을 줄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기업 이익 개선과 조달 비용 감소가 동시에 나타나는 흐름이 있어야 한다고 보고 있습니다.
정부 차원의 코스닥 활성화 정책펀드 조성 등 수급 지원 정책도 의미가 있을 것입니다. 또한 우리나라 스타트업·신성장 기업들의 IPO 시장이 올해는 부진한 흐름이었는데, 모험자본 유입과 IPO 활성화가 이뤄져야 코스닥 1000 돌파의 지속성과 체력이 확보될 것이라고 봅니다.
▲ 개인 투자자 입장에서 지금 시점에서 유의해야 할 투자 리스크는 무엇입니까?
올해 들어 계속 말씀드리고 있지만, 수익률 구간에 대한 밴드를 좁게 가져가는 전략이 필요합니다. 실물 경기가 좋아졌다고 보기에는 아직 괴리감이 존재합니다. 반도체 경기가 좋아지긴 했지만, 그 효과가 국내 전체 경기로 확산되기까지는 시간이 필요합니다. 최근처럼 지수가 단기간 급등할 때는 변동성이 커질 수밖에 없기 때문에, 목표 수익률에 도달하면 최소한 절반 정도는 차익을 실현하고 밴드 플레이를 하는 전략이 여전히 유효하다고 보고 있습니다.
▲ 코스피와 코스닥의 올해 하반기와 내년 전망에 대해 말씀해주세요.
단기적으로는 많이 오른 만큼 조정 가능성을 무시할 수 없다고 보고 있습니다. 하지만 내년은 정부 정책 지원과 기준금리 인하에 따른 유동성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전반적으로 내년은 ‘상고하저’ 흐름으로 보고 있습니다. 상반기에는 이익 증가율 등 실적 모멘텀이 반영될 가능성이 크지만, 하반기에는 관세 요인이나 경기 변화 요인이 다시 반영될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 이전 글| 건설/부동산 | 대규모 개발지역 내 브랜드 아파트, ‘집값 리딩 단지’로 우뚝2025.11.06
- 다음 글| 증권/금융 | [이슈] 미래에셋증권, 브로커리지·WM 사상 최대…국내 강세 속 해외법인 숨 고르기2025.11.06
회원로그인
회원가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