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무료대세는 'AI'...2차 랠리 임박
-
무료바닥권 주가 턴어라운드 임박 종목
-
무료5/27일 무료추천주
-
무료하반기부터 해외시장 본격 모멘텀 터지는 대박주는?
-
무료신약 흥행, 매출 급증! 주가 탄력은 덤!
-
무료관세 무풍지대에 있으면서 방산 관련 국산화를 시킨 재료가 2개나 있는 기업???? #웨이비스
-
무료주가 턴어라운드 가속 예상...추세적 주가 흐름 상승초입 국면
-
무료현대무벡스
-
무료[19.81%상승, 공략종료]AI산업에 필수적인 전력! 이재명후보에 에너지믹스 수소 관련주! #에스퓨얼셀
-
무료트럼프 장남에 해군성 장관까지 온다!! K-조선 부각! 방문하는 조선소에 필수 자제 납품하는 기업! #케이프
-
무료[8.96%상승, 공략종료]SK USIM 해킹 사태!! 양자내성암호 기반 eSIM 상용화 부각 #아이씨티케이
-
무료2차전지 시장 독보적 기술력 보유
-
무료인벤티지랩을 시작으로 비만치료제 모멘텀 시작~ 급등주는?
-
무료지원 정책 날개 달고 반등 가능성 농후
-
무료정부 28조 청년 일자리 정책 수혜 기대감 #플랜티넷

정부가 철강산업 생존력 확보와 미래경쟁력 강화를 위한 산업구조 재편에 나선다.
산업통상부는 4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구윤철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열린 경제관계장관회의 및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에서 '철강산업 고도화 방안'을 관계부처 합동으로 발표했다.
정부는 공급과잉 품목에 대한 선제적 설비규모 조정, 수출 기업 애로 해소 및 통상대응 강화, 수소환원제철, 특수탄소강 등 저탄소·고부가 전환 등을 추진하며 미래 경쟁력을 강화하고 내수 침체에 대응하겠다는 구상이다.
주요 정책 과제는 ▲설비규모 조정 및 지원 ▲해외 수출장벽 및 국내 불공정 수입 대응 ▲기술개발, 인공지능(AI) 전환 및 수요창출 ▲단계적 그린경쟁력 확충 지원 ▲안전과 협력 강화 등으로 추진된다.
설비규모 조정 및 지원은 정부가 먼저 경쟁력 약화 품목 중 기업 설비 조정 계획이 있는 경우 고용유지 노력 등 기업의 경영상 책임 있는 자세를 전제로 산업 위기 선제대응지역 지정 등과 연계해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해외 수출장벽 대응 방안으로는 지난 9월 발표한 '미 관세협상 후속 지원대책'을 차질없이 이행한다. 정부는 미 관세 피해기업에 긴급 융자자금을 편성하고 철강·알루미늄·파생상품 피해기업을 중심으로 금융 공급을 진행할 예정이다. 포스코와 시중은행 출연으로 4000억원 규모의 ‘철강 수출공급망 강화보증상품’을 신설키로 했다. 피해 기업에는 정책금융, 무역보험, 저금리 융자 등 약 5조7000억원 규모의 금융 지원이 제공된다.
제조 현장에는 AI 기술이 도입된다. 포스코·KG스틸·대한제강 등이 참여하는 ‘AI 팩토리 M.AX 얼라이언스’를 통해 디지털 트윈 기반 공정 모니터링, 예지정비, 품질관리 자동화를 추진한다. 산업부는 제철공정 자율예지보전(국비 98억원), 강관공정 자율제조(100억원), 철강산업 전주기 AI 실증체계(21억원) 등으로 현장 효율과 안전을 높인다. 또 정부는 2030년까지 10대 특수탄소강 품목에 2000억원을 투입하고, 조선·에너지·자동차·방산·우주항공 등 전방산업에 쓰이는 고강도·경량화 소재를 국산화한다.
탄소중립 대응책도 핵심이다. 총 8100억원(국비 3100억원)이 투입되는 수소환원제철 상용화 사업이 내년부터 본격 추진된다. 정부는 한국형 파이넥스(FINEX) 기술을 활용한 유동환원 방식으로 세계 최초의 상용화를 추진하고, 저탄소 철강 제품에는 공공조달 우대 등 인센티브를 부여한다.
산업부 측은 "'산업의 쌀'이자 국내 제조업 경쟁력의 근간인 철강산업의 위기 징후가 점차 확산됨에 따라 정부가 철강산업 생존력 확보와 미래경쟁력 강화를 위한 산업구조 재편에 나선 것"이라고 전했다.
- 이전 글| 산업/재계 | 두산에너빌리티, 국내 원전 해체 첫발…고리 1호기 해체 공사 착수2025.11.04
- 다음 글| 산업/재계 | 롯데, 재팬모빌리티쇼서 미래 모빌리티 사업 알린다2025.11.04
회원로그인
회원가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