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뉴스
산업/재계
  • 공유링크 복사

[이슈] 셀트리온, '美 현지 생산공장 인수'..."미국 판매 불확실성 완전히 해소 할 것" 

  • 3일 전 / 2025.07.29 22:48 /
  • 조회수 6
    댓글 0

셀트리온이 미국발 관세 리스크 해소를 위한 해결책으로 ‘미국 현지 생산공장 인수’를 택했다.

29일 열린 온라인 기자간담회에서 셀트리온 서정진 회장은 “미국 정부가 ‘메이드 인 USA’를 원한다면, 우리도 ‘메이드 인 USA’ 제품으로 생산해 판매하는 것이 기본 방침”이라며 “신규 건설보다 기존 공장을 인수하는 것이 경제적이고 시간적으로도 효율적이라 판단해 6개월 전부터 검토를 시작했고, 오늘부로 해당 공장의 우선협상대상자로 지정됐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셀트리온은 미국 내 입지를 더욱 강화할 계획이며, 2033년까지 총 41개 바이오시밀러 제품을 미국 시장에 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밝혔다.


◆ 현재 11개의 바이오시밀러 美판매중..."美생산은 필연적" 

서정진 회장은 현재 셀트리온이 미국에서 11개의 바이오시밀러 제품을 판매 중이며, 이 숫자는 2030년까지 22개, 2033년에는 41개까지 확대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서 회장은 “이처럼 제품 수가 빠르게 늘어나는 만큼, 미국 시장은 선택이 아닌 필연적으로 진출해야 할 시장”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현재 셀트리온은 미국 내 CMO(위탁생산) 업체 한 곳과 DS(원제) 생산 계약을 맺고 있고, 완제(DP) 생산은 두 곳과 계약해 공급받고 있다”며 “하지만 향후 제품 수 증가와 공급 안정성을 고려하면 자체 생산시설 확보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셀트리온은 미국 현지에 새롭게 공장을 짓기보다는 기존 시설을 인수하는 방안을 택했다는 입장이다. 서 회장은 “기존 공장을 인수하는 것이 경제성과 시간 면에서 더 효율적이라는 판단 하에 결정한 것”이라고 밝혔다.

회사가 인수를 추진 중인 생산공장은 이미 항암제와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등을 생산해온 시설로, 셀트리온은 연내 해당 공장을 100% 인수한 뒤 직접 운영에 나설 계획이다. 


◆ 미국 생산공장 '송도 2공장의 1.5배 사이즈'..."개발인력도 확보" 

서정진 회장은 이번 미국 현지 공장 인수에 대해 “처음부터 적자 없이 흑자 기반으로 운영이 가능하다는 점이 가장 큰 장점”이라며, “시설의 절반은 셀트리온 제품 생산에 활용해 연말까지 미국 판매를 위한 준비를 마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미국 정부가 의약품 관세와 관련한 구체적인 정책 방향을 제시하면, 그에 맞춰 보완 투자를 진행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서 회장은 공장 인수와 운영에 들어가는 총 투자 비용이 약 7,000억 원 규모가 될 것으로 전망했다. 아울러 “이번에 확보하는 생산공장은 송도 2공장 대비 약 1.5배 규모까지 확장 가능한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고 말했다.

이번 인수를 통해 단순한 생산 인력뿐 아니라 연구개발 인력도 함께 확보할 수 있는 점도 강조했다. 서 회장은 “이 공장을 인수하면 생산뿐 아니라 개발 인력도 함께 포함돼 있어, 한국에 있는 셀트리온 연구소와 상호 보완적인 미국 내 연구 기지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서 회장은 “이제는 관세가 어떻게 결정되든 관계없이, 현재는 물론 미래의 제품까지 모두 ‘메이드 인 USA’로 생산해 판매할 준비를 사실상 완료했다고 보면 된다”고 밝혔다.

또한 “이번 공장 인수는 단기 대응 차원을 넘어, 미국 내에서 제품 생산부터 판매까지 아우를 수 있는 ‘원스톱 서비스’ 체제를 구축하는 기반이 될 것”이라며, “미국 내 주요 바이오시밀러 제품들의 시장 점유율 확대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고 기대감을 드러냈다.

아울러 회사는 “이번 기회를 발판으로 셀트리온이 다시 한번 퀀텀 점프를 이뤄낼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QUICK MENU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수익률 계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