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뉴스
산업/재계
  • 공유링크 복사

[상호관세 후폭풍] 한국산 제품에 25% 관세…K-산업에 드리운 '관세 그림자'

  • 25일 전 / 2025.04.03 08:39 /
  • 조회수 75
    댓글 0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2일(현지시간) 전 세계를 대상으로 한 ‘상호관세’ 정책을 공식 발표한 가운데, 한국산 제품에 대해 25%의 고율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혔다. 다만 이미 기존에 품목별로 관세가 적용 중인 철강, 알루미늄, 자동차 등 일부 품목은 이번 상호관세 적용 대상에서 제외됐다. 반도체와 목재도 상호관세 적용 예외 품목으로 분류됐다.

이에 따라 자동차와 철강 제품은 기존과 동일한 25%의 품목별 관세가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 반도체 역시 국가별 상호관세가 아닌 품목별 관세로 적용될 가능성이 크다. 구체적인 산업별 세율은 아직 발표되지 않았지만, 관세 부담이 현실화된 상황에서 국내 수출기업들은 대응 방안을 두고 고심에 빠진 모습이다.

◆ 배터리 업계 "완성차 가격 인상, 수요 위축 우려"
국내 배터리 업계에도 비상이 걸렸다. 완성차 가격 인상이 예상되면서 소비 위축과 전기차 수요 감소로 이어질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배터리 및 소재 업계 전반에 부담이 가중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배터리 업계 관계자는 “완성차의 수입 여부 및 부품 조달 방식에 따라 가격 인상 폭이 달라질 것으로 보인다. 완성차 가격이 오르면 소비자 부담이 커지고, 전기차 판매 감소가 밸류체인 전반에 타격을 줄 수 있다”며 “배터리 업계에 영향이 갈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어 “미국 내 배터리 공장을 운영하고 있는 국내 배터리 기업들은 관세의 영향을 덜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며 “하지만 양극재, 음극재, 분리막 등 주요 소재를 국산 위주로 사용하는 비중이 높고, 흑연 등 일부 중국산 소재도 여전히 사용 중이기 때문에 배터리 완제품 전체에 25%의 관세가 부과될지, 일부 수입 소재에만 관세가 적용될지는 관세 적용 방식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대형 배터리사는 미국 현지 투자 여력이 있지만, 중소형 소재 업체는 대응에 한계가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LG에너지솔루션과 SK온 등 주요 배터리사는 미국 내 배터리 공장 가동 또는 조인트벤처 설립을 통해 선제적으로 대응 중이다. 반면 분리막·전해질 등 핵심 소재를 생산하는 중소형 협력사들은 자금력과 인프라 측면에서 현지 공장 설립이 쉽지 않아 관세 부담을 고스란히 떠안을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한편, 배터리 세부 품목별 관세율과 적용 시점은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 업계에서는 미국 정부가 구체적인 세부 지침을 마련하는 데 약 1~2개월가량 소요될 것으로 보고 있다.

◆ "철강은 유지, 반도체는 예고"…K-주력 산업에 드리운 美관세 그림자
철강은 이미 관세 부담이 현실화된 상태다. 미국은 지난 3월부터 자국으로 수입되는 모든 철강과 알루미늄 제품에 25%의 고율 관세를 부과하기 시작했다. 철강 제품은 기존과 동일한 25%의 품목 관세가 유지된다. 다만 관세 장기화 시 수익성 타격이 불가피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특히 미국 수출 물량이 줄면 내수 시장으로 물량이 몰리며 국내 가격 하락과 설비 가동률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반도체도 이번 상호관세 대상에서는 빠졌지만,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2월 반도체에 대한 품목별 관세가 최소 25% 이상이 될 것이라고 밝힌 만큼, 향후 별도의 고율 관세가 부과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현재까지 미국은 반도체에 별도의 관세를 부과하지 않았지만, 이번 발표를 통해 반도체가 예외 품목으로 분류됐다는 점은 향후 직접 타깃이 될 수 있다는 신호로 해석된다.

특히 한국은 미국의 주요 반도체 공급국 중 하나이며,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은 베트남·중국 등 제3국 생산기지를 활용하고 있다. 관세가 실제 부과될 경우, 국가별 상호관세가 아닌 ‘반도체 품목 기준’으로 적용되기 때문에 특정 공장에서 생산된 제품이라 하더라도 관세를 피할 수 없다.
 

QUICK MENU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수익률 계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