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 지식인칼럼
  • 공유링크 복사

6월 30일(월) 한 장으로 정리하는 [한대리 증권뉴스]

한대리가 증권 소식을 초보자도 알기 쉽게 정리해드렸어요
  • 한대리 / 2025.06.30 20:14
  • 조회수 2,931
    댓글 0

6월 30일(월) 한 장으로 정리하는 [한대리 증권뉴스]



1. 숫자로 보는 오늘의 시장


 

 코스피

코스닥 

다우 

S&P500 

나스닥 

필라델피아반도체 

 직전종가

 3,071.70

781.50 

 43,819.27

 6,173.07

 20,273.46

 5,545.00

 등락률

 +0.52%

-0.01%

 +1.00%

 +0.52%

 +0.52%

 +0.06%


 

2. 한 대리의 한 줄 평


“상반기 랠리 마무리와 함께 관세·정책 변수 앞두고 수급 변화가 감지되고 있습니다.
반도체·화장품·전력기기 등 주도업종이 시장을 견인하는 가운데, 정책 이슈와 외국인 수급이 당분간 방향성을 결정할 전망입니다.”

오늘 코스피는 장 초반 3,072p(전일 대비 +0.55%)로 출발하여 장중 3,086p(+0.98%)까지 고점을 형성했습니다.
이후 박스권을 보이며 3,071.70p(+0.52%)로 마감하였습니다. 기관과 개인의 매수(+4,540억, +2,559억)가 외국인 4일 연속 순매도(-6,884억)를 상쇄했습니다.
SK하이닉스(+2.82%), LG에너지솔루션(+3.13%), 두산에너빌리티(+3.95%) 등 반도체·전력기기·화장품이 강세를 보였으나, 

삼성전자(-1.64%), 한화에어로스페이스(-4.72%) 등 일부 대형주는 약세를 기록했습니다.



3. 오늘(6/30) 마켓 브리핑 (글로벌/국내 증시)


지난 글로벌 증시미국 S&P500(+0.52%), 나스닥(+0.52%) 등 사상 최고치 경신세가 이어졌습니다.
주요 10여 개국과 관세 협상이 마무리 단계에 진입했다는 소식과, 미-중 무역협정 서명 발표 등이 시장을 견인했습니다.
반면, 캐나다와의 협상 중단·관세 발동 등 트럼프의 강경 발언이 장중 변동성을 키웠습니다.
미국 PCE(전년 대비 +2.3%), 개인소득(-0.4%), 개인지출(-0.1%) 등 경제지표는 대체로 예상 부합 혹은 소폭 부진했으나, 소비 심리와 고용 둔화 경고 신호도 함께 나타났습니다.


국내 증시는 5주 연속 상승 및 3개월 연속 월간 양봉을 기록하며, 상반기 수익률(코스피 +28%)이 2000년 이후 3번째로 높게 집계되었습니다.
외국인은 현물·선물 동반 매도로 대형주 중심 차익실현에 나선 반면, 기관과 개인의 매수세가 지수 방어에 주효했습니다.
전력기기·화장품·이차전지·게임 등 업종별 순환매가 두드러졌으며, 스테이블코인·테마주 등은 재료 소멸 및 정책 불확실성으로 약세를 보였습니다.



4. 시장 해설


오늘 시장은 관세 유예 연장 이슈와 미국 감세안 통과 기대감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미국·유럽 증시 강세(다우 +1.00%, 나스닥 +0.52%, 독일 +1.62%)가 국내 증시에도 긍정적으로 반영되었습니다.
SK하이닉스·LG에너지솔루션 등 반도체, 두산에너빌리티(원전), 실리콘투(화장품), 엔씨소프트(게임) 등이 주도주 역할을 했으며,
기관과 개인의 적극적 매수가 하락 압력을 흡수했습니다.
반면, 삼성전자·한화에어로 등 일부 대형주는 외국인 매도 집중으로 약세를 보였고,
스테이블코인·영상·테마주 등 단기 급등주들은 차익실현 매물 출회 및 이슈 소멸로 조정이 이어졌습니다.
6월 상반기 랠리 피로감과 더불어, 7월 관세/정책 이슈를 앞둔 신중한 수급 변화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5. 내일(7/1) 꼭 체크해야 할 이슈


코스피 단기 박스권(2,980~3,120pt) 내 수급 변화 및 변동성 확대 가능성에 대해서 염두해 두어야 합니다.

미국 ISM 제조업 PMI(예상 48.8)·고용지표·한국 6월 수출(예상 +4.4%) 등 주요 경제지표 발표를 주목해야 합니다.

관세 유예 종료 여부, 미국 감세안 상원 표결 및 정책 변수(상법 개정안 등)를 살펴보아야 합니다.

반도체(삼성전자·SK하이닉스) 실적 전망, 화장품·전력기기·게임 등 주도주 실적 및 수급도 확인해야 합니다.

외국인 수급 재개 가능성, 정책주/테마주 변동성 및 순환매 지속 여부도 반드시 주목해야 할 포인트입니다.



6. 오늘 장 마감 코멘트


“상반기 랠리 이후 관세·정책 변수와 수급 변화가 맞물리고 있습니다.
반도체·전력기기·화장품 등 실적·모멘텀 중심 주도주에 집중하면서, 정책/테마주는 변동성 확대에 대비한 분할매도와 수익실현 전략이 필요합니다.
뉴스·수급 흐름을 실시간 체크하며 시장 변화에 신속히 대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QUICK MENU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수익률 계산기